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IMF, G8 국가 중 캐나다 성장율 높을 것 예상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은 11일(화) 오전 9시(미국 워싱턴 기준)에 4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WEO)을 발표했다. 세계경제전망은 IMF가 매년 1·4·7·10월 발표하는 대표적인 보고서로 세계경제와 회원국의 경제성장률을 분석·전망하고 정책 방향을 제언하는 보고서이다.   여기서 캐나다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1.5%로 내다봤다. 높은 성장률은 아니지만 선진국 전체로 1.3% 경제성장률인 점을 감안하면 평균 이상이다. IMF의 지난 1월 전망에서도 1.5%로 변화가 없었다.     G8국가만 보면 캐나다는 미국의 1.6%에 이어 스페인과 함께 공동 2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1.3%,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0.7%이다. 독일은 -0.1%, 영국도 -0.3%로 마이너스 성장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내년도에 전체 선진국은 1.4%의 성장이 예상되는데, 캐나다는 올해와 같은 1.5%로 전망됐다. G8 국가 중에서는 스페인의 2%에 이어 2번째로 높은 국가이다.   IMF는 최근의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시장으로 파급될 가능성을 우려하며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2.8%로 전망하였다. 이는 지난 1월 전망치인 2.9%에 비해 0.1%p 햐향조정된 수치이다. IMF는 또 세계경제 중기성장률(5년뒤 성장률)을 3.0%로 전망하였는데 이는 WEO가 발간된 1990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캐나다와 같은 1.5%로 예상됐다. IMF의 지난 1월 전망에서는 1.7%였지만 0.2% 포인트 하향 조정을 했다. 내년도에는 2.4%로 높아진다는 전망이다. 이 또한 지난 1월 전망치 2.6%에 비해 0.2% 포인트 하향조정한 수치다.  이번 보고서에서 주택 시장 위기 관련 분석도 나왔는데, 캐나다는 주요 국가 중에서 가장 위험한 국가로 나왔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중 세계 주요 국가의 주택 가격이 폭등을 했는데, 작년 2분기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모기지 이자 부담도 크게 증가하면서 캐나다의 주택 시장 위험성이 모든 선진국 중에 제일 위험한 상황이라고 본 것이다.     보고서의 소비자물가지수 전망에서 캐나다는 올해 3.9%, 내년에 2.4%로 점차 관리 목표치로 조정될 전망이다. 한국은 올해 3.5%, 내년에 2.3%로 안정화를 예상했다.   IMF는 올해 세계경제 여건을 험난한 회복과정(A Rocky Recovery)으로 평가했다. 지난해부터 세계경제를 괴롭혀온 러-우 전쟁, 경제분절화 심화, 인플레이션 등 불안요인이 해결되지 못한 채 최근의 실리콘밸리 은행·크레딧스위스 사태 등 금융시장 불안이 확산되는 상황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IMF는 이 외에도 지나치게 높은 공공·민간부채 수준, 신흥국 및 개도국 그룹 중심으로 나타나는 신용 스프레드 상승 등을 잠재적인 위험요인으로 제시했다.     IMF는 금융시장 불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충분히 낮아질 때까지 긴축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정당국에는 통화정책과의 정합성 및 부채관리를 위해 긴축재정을 권고하는 한편, 생계비 완화를 위한 재정지원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재정적자와 부채규모를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관리해야하며 저탄소 경제체제로 빠르게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표영태 기자캐나다 성장율 세계경제 중기성장률 올해 경제성장률 주요 국가

2023-04-13

OECD, 주요 국가에 비해 캐나다 성장률 올해도 내년도 암울

 OECD가 G20국가의 올해 성장률에서 작년 11월 전망치에서 캐나다는 0.1% 포인트 높아진다는 수정치를 내놓았지만 여전히 세계나 주요 국가의 평균 이하에 머물게 될 전망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3월 17일 발표한 중간경제전망(Interim Economic Outlook)자료에 따르면 캐나다는 올해 성장률이 1.1%가 될 것으로 봤다. 작년 11월 발표의 1%에 비해 0.1% 포인트가 상승했다.   하지만 작년, 3.4%의 성장률을 보였던 것에 비해 크게 낮아진 수치다. 작년 G20국가도 3.1%,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3.2%의 성장률을 보였지만, 올해 성장률을 이번 3월 중간 발표에서는 각각 2.6%로 조정했다.   OECD는 기업·소비심리 개선, 에너지·식량 가격 하락, 중국의 완전한 리오프닝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으며, 세계경제가 올해와 내년에 걸쳐 완만하게 회복하고, 인플레이션은 점진적으로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에너지·식량 가격 하락에 따른 구매력 상승으로 경제활동과 기업·소비심리가 개선되고 있고, 중국의 완전한 리오프닝으로 글로벌 상품·서비스 수요가 확대된다고 봤다.     하지만 OECD는 세계경제 여건에 대한 개선된 전망은 여전히 “취약한(Fragile)”기반에 놓여 있으며, 상·하방 리스크는 최근 균형된 모습이나 아직 하방리스크가 다소 우세다고 평가했다.     그 이유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신흥국 식량안보 약화, 공급망 분절 심화 등이 성장·물가 악화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통화긴축의 여파를 예측하기 어렵고,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통화긴축 속도와 기간에도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봤다. 그리고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 및 기업 부담 가중, 금융기관 불안(SVB 파산 등) 및 가파른 주택가격 하락 등도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즉 SVB 사태에서 나타나듯이, 시장금리와 채권가격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해 금융기관의 비즈니스 모델이 더 높은 만기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는 점이다.   G7 주요 국가의 올해 성장률을 보면, 미국은 1.5%, 일본은 1.4%, 캐나다 1.1%, 프랑스는 0.7%, 이탈리아는 0.6%, 독일은 0.3% 등이었으며, 영국은 0.2% 마이너스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됐다.     캐나다의 성장률이 낮아진 이유로는 긴축 통화정책을 위해 작년부터 시작된 기준 금리 인상으로 전체적인 경기가 둔화됐기 때문이라고 봤다. 통화정책이 주택 시장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을 작년 12월로 보고 있다. 캐나다는 작년 4월 주택 가격이 정점을 찍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캐나다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일단 멈추는 자세를 보였다. 하지만 OECD는 물가압력 완화 신호가 뚜렷해질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지속할 것을 권고하면서, 추가 금리 인상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는데, 캐나다의 기준 금리는 4.75%까지는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은 이번 성장률 발표에서 작년 11월 1.8%보다 0.2% 포인트 하락한 1.6%로 전망됐다. 작년 2.6%의 성장률을 기;록했었다.   중국이 관광 재개를 하며 인접 아시아 국가들이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이라고 예측됐지만, 현 한국 정부의 노골적인 반중국 친미정책으로 실제로 중국이 한국만 단체 여행 대상국가에서 한국만 제외시키는 등 불이익을 주고 있다. 국가 이익을 위한 등거리 외교를 포기하고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자초한 인조의 외교 참사를 답습하는 모양세다.   내년 성장률에서 OECD는 캐나다는 1.4%로, 한국은 2.3%로 조정했다.     표영태 기자성장률 캐나다 기준금리 인상 올해 성장률 주요 국가

2023-03-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